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6 09:11본문
Download : 동양1강.hwp
**시험에 나왔던 기출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주관식// 네모: 객관식).** ,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강인문사회레포트 , 한성구 동양사상입문 동양사상 강의안 1강
**시험에 나왔던 기출문제가 체크되어있습니다(동그라미: 주관식// 네모: 객관식(客觀式)).**
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
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
-철학은 근대 이후에 생긴 단어이며 서양에서의 분과학문의 한 갈래에서 나온 말이다.강의자체에서 제공되는 부분은 캡쳐를 하였으며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
동양사상의 강의 내 정의(定義)
-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관념, 그리고 문화가 형성되는 데 있어서 큰 effect을 미치고 대대로 전승되어 온 사유체계
오답:종교론
강의
-교리사: 기독교 교리사, 유학사, 불교사, 마르크스주의 歷史(역사) 등을 가르키는 학설사를 의미
고도로 자각적이며 추상도가 높은 체계나 theory 의 歷史(역사)적 전개를 추적하는 것
철학사나 사상사란 이름으로 책을 보았을 때 대다수를 차지
-관념사: 歷史(역사)상 누구누구의 사상이 아니라, 어떤 문화권, 혹은 한 시대나 여러 시대에 걸쳐서 통용되었던 특정한 관념을 추출하고 그것이 다른 관념과 결합하거나, 이탈하는 과정, 사…(투비컨티뉴드 )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
한성구 교수님 동양사상입문 강의안입니다.
이 data(資料)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
제 1강 동양사상이란 무엇인가?
01. 동양사상은 가능한가?
강의:
-동양은 스스로에 대한 자각만 있었을 뿐 스스로 동양이란 표현은 쓴 적이 없다.
-日本(일본)의 ‘니시아마네’가 philosophy를 번역해서 만든 말이 철학이다.이 자료를 보시면 굳이 수업을 듣지 않더라도 A+학점 받으실수 있습니다.
기출표시한성구 동양사상입문 강의안 제1강
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data(資料)입니다.
-따라서 동양은 매우 이데올로기 적이고 모호한 말이다.들으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교수님이 강의안을 제공해주시지 않습니다.
-따라서 동양은 매우 이데올로기 적이고 모호한 말이다.
-동양 사상 및 철학은 국적 불명의 말이다.
Download : 동양1강.hwp( 92 )






다.
도학: 도와 관련 // 현학: 오묘한 천지의 진리 // 人生관: 人生에 대한 성찰
=> 철학이란 말 대신 도학/현학/人生관이라는 말을 쓰자는 주장도 있었음
-동양사상이란 말이 성립 가능한가?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두겠다.
강의
-동양에는 서양의 分析(분석)적인 방식의 철학이라는 槪念은 존재하지 않았다.
동양사상의 강의 내 정의(定義)
-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식과 관념, 그리고 문화가 형성되는 데 있어서 큰 effect을 미치고 대대로 전승되어 온 사유체계
제 1강 동양사상이란 무엇인가?
01. 동양사상은 가능한가?
강의:
-동양은 스스로에 대한 자각만 있었을 뿐 스스로 동양이란 표현은 쓴 적이 없다. 그러나 기독교 제국이 비교독교 국가에 대항을 위해, 동양이라는 타자 용어를 사용함.
-동양은 문화적 지리적으로 봤을 때, 매우 포괄적인 槪念으로 특정하기가 어렵다.
강의:
-철학이나 사상이란 표현은 동양의 고대의 문헌에 등장하지 않는다.그러한 관계로 직접 강의를 듣고 강의내용을 포함하여 작성한 자료입니다.
-日本(일본)의 ‘니시아마네가 philosophy를 번역해서 만든 말이 철학이다.
순서
<<<빈공간 부분은 강의안이 캡쳐되어있는 부분입니다.
한성구,동양사상입문,동양사상,강의안,1강,인문사회,레포트
설명
레포트/인문사회
교수님이 불러주시는 내용은 직접 타이핑 하였습니다.
강의:
-철학이나 사상이란 표현은 동양의 고대의 문헌에 등장하지 않는다.
-동양 사상 및 철학은 국적 불명의 말이다. 그러나 기독교 제국이 비교독교 국가에 대항을 위해, 동양이라는 타자 용어를 사용함.
-동양은 문화적 지리적으로 봤을 때, 매우 포괄적인 槪念으로 특정하기가 어렵다.
강의
-동양에는 서양의 分析(분석)적인 방식의 철학이라는 槪念은 존재하지 않았다.
도학: 도와 관련 // 현학: 오묘한 천지의 진리 // 人生관: 人生에 대한 성찰
=> 철학이란 말 대신 도학/현학/人生관이라는 말을 쓰자는 주장도 있었음
-동양사상이란 말이 성립 가능한가? 여러분의 몫으로 남겨두겠다.
-철학은 근대 이후에 생긴 단어이며 서양에서의 분과학문의 한 갈래에서 나온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