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co.kr 술 > ab20008 | 2000.co.kr report

술 > ab20008

본문 바로가기

ab20008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4 07:31

본문




Download : 술_2100157.hwp






● CI(COMPANY Image)
※ 두꺼비 의미
1. 의젓한 생김새, `떡두꺼비 같은 아들!`
2. `콩쥐팥쥐`등 민간설화에서의 `기복 이미지`
3. 아침 저녁으로 차고 깨끗한 이슬을 받아먹는
장생의 동물 `진로` 라는 브랜드와 이미지가
일치하였다. 술 , 술공학기술레포트 ,

Download : 술_2100157.hwp( 35 )



레포트/공학기술
,공학기술,레포트


술_2100157_hwp_01.gif 술_2100157_hwp_02.gif 술_2100157_hwp_03.gif 술_2100157_hwp_04.gif 술_2100157_hwp_05.gif 술_2100157_hwp_06.gif
다. 따라서 우리말의 아랑주니 아락주니 하는 것은 고유어가 아니라 외래어라 보는 것이 타당하겠다.



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燒酎의 [酎]자는 술주[酒]자를 쓰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酎]자가 맞는것 같다.이유는 서울은 서북지방과 달라 원숭이에 대한 견해가 부정적이었기 때문이다무한한 번식률, 장생의 생명력, 맑고 깨끗하며, 유순하고 믿음직해 보이는 두꺼비. 그만하면 진로의 이미지로 손색이 없다. 소주는 본래 한자어이고 그 어원을 살펴보면 대략 다음과 같다.
증류주를 뜻하는 말로 아라비아어의 `아락`(Arag), 만주어의 `아얼키`(亞兒吉), 몽고어의 `아라키`(亞利吉), 범어(梵語)의 `아물타`(Amrta)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평북 지방에서 산삼을 캐는 심마니들이 사용하는 은어에 소주를 `아랑주`라고 하는 말이 있으며, 개성에서는 소주를 `아락주`라고 한다. [酎]의 뜻은 세번 고은 술이라는 뜻이다.
명나라 학자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본초강목(本草綱目)에 보면 소주는 원나라에서부터 처음 되었다고 씌여있다 원나라는 페르샤의 회교 culture를 받아들였으며 중국(中國)을 석권하고 한반도까지 effect을 끼친 역싸적 사실로 미루어 볼때 소주는 페르샤에서 몽고, 만주…(투비컨티뉴드 )










술에 대한 자료입니다. 당시 원숭이를 트레이드 마크로 쓴 이유는 생김새가 사람과 비슷하고, 사람의 말을 이해하며,술을 즐기는 기이한 짐승으로서 서북지방에서는 예로부터 복신(福神)으로 추앙을 받아온영물이었기 때문이다그후 원숭이 상표는 1954년 신길동 시대에 와서 두꺼비로 바뀌었다.
설명

순서


1.브랜드紹介(소개)

2.참이슬의 특징

3.소주시장environment

4.environment分析

5.설문조사分析

6.경쟁environment分析

7.SWOT分析

8.key point(핵심) 성공요인(KSF)

9.마케팅책략

10.광고책략





1.브랜드紹介(소개)

● 두꺼비 탄생의 由來

지금은 `진로`하면 `두꺼비`를 떠올리지만 처음은 원숭이였다.
REPORT 73(sv75)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2000.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

[저작권이나 명예훼손 또는 권리를 침해했다면 이메일 admin@hong.kr 로 연락주시면 확인후 바로 처리해 드리겠습니다.]
If you have violated copyright, defamation, of rights, please contact us by email at [ admin@hong.kr ] and we will take care of it immediately after confirmation.
Copyright © 2000.co.kr All rights reserved.